[최신 치의기공임상학술논문] 복합레진으로 제작한
인레이 보철물 구조에 따른 교합면 부위의 3차원 정확도 평가
상태바
[최신 치의기공임상학술논문] 복합레진으로 제작한
인레이 보철물 구조에 따른 교합면 부위의 3차원 정확도 평가
  • 제로 편집팀
  • 승인 2019.06.24 1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론

현재 인레이 보철물은 주로 아말감(Amalgam)과 골드(Gold)인레이 보철물로 제작되고 있다. 아말감 인레이 보철물 같은 경우에는 인체에 해로운 발암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생산과 사용을 중단하고 있다. 골드인레이 경우에는 생체친화성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고 제작과정이 복잡하며 또한 심미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금속재료의 인레이 보철물은 주조(Casting)수축에 의해 적합도가 낮으므로 2차우식이 빈번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금속재료로 인레이를 제작할 경우 금속간의 전류가 흐르는 갈바니즘(Galvanismus)현상으로 인해 치아의 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환자의 심미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치아색과 유사한 색조의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치과용 인레이 심미보철재료로는 컴포지트레진(상품명; 테세라, 심포니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재료는 심미성은 우수하지만, 제작과정에 따라 적합성이 낮아지거나 마모저항성과 기계적 특성이 저하 되는 등의 문제가 동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레이로 프랩된 와동 형태에 따라서도 변연적합도는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레이 와동 종류에 따라 인레이용 컴포지트 레진의 변연적합도가 우수한지 알아보고자 지르코니아와 알루미나 첨가재를 혼합한 것으로 출시된 트위니 레진을 선택해 연구를 진행했다. 
 
 
본론
1) 주 모형 선정(국제 표준 모델 주 모형 선택)
본 실험에서 사용할 주 모형은 3가지 형태의 모형을 설정했다. 상악우측 제 1대구치의 O(Occlusal) cavity, 하악 좌측 제 1대구치의 MO(Mesial and Occlusal) cavity, 하악 좌측 제 1대구치 MOD(Mesial, Occlusal and Distal) cavity 치아로 선정했다(Figure 1).
 
2) Type Ⅳ 스톤을 사용해 연구모형 제작
준비된 에폭시 레진 주모형을 복제용 실리콘으로 복제해 각각 1개씩 제작했다. 준비된 복제용 실리콘에 초경석고를 주입해 각각 20개씩 총 60개의 연구모형을 제작했다.
 
3) 연구모형에 컴포지트 레진 주입
준비된 상악 우측 제 1대구치의 O cavity(OC 그룹), 하악 좌측 제 1 대구치 지대치(MO cavity(MOC 그룹), 하악 좌측 제 1 대구치의 MOD cavity(MODC 그룹)를 각각 그룹마다 20개씩 제작했다.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대치 와동 내부에 복합레진 전용의 레진 분리제를 도포했다.
 
4) 주입관 컴포지트 레진 광중합 및 열중합
복합레진을 주입해 전용의 장비로 광중합을 시행했다. 광중합 과정은 스케줄에 따라 광중합 장비 내부에서 10초 동안 광중합을 했으며, 이어서 60초 동안 건조 과정을 거친 후 90초 동안 다시 광중합을 시행했다. 이어 광중합 과정을 마무리하고, 추가적으로 열중합 장비를 사용해 110℃에서 15분 동안 중합을 했다. 
 
 
5) 컴포지트 레진 내면에 스캔전용 스프레이 도포
 - 컴포지트 레진 인레이 내면의 3차원 스캔 과정을 위해서 내면에 전용의 스프레이를 도포했다(n=60). 스프레이가 도포된 인레이 내면을 청색광 스캐너를 사용해 세 그룹 모두 스캔했다(Figure 2).
6) 모형 스캐너를 사용해 내면 스캔
 복합레진 인레이의 내면을 스캔한 후 교합면의 내면 부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Geomagic verify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편집했다(Figure 3).
 
 
7) 스캔된 컴포지트 레진 인레이 및 3차원 분석 
MODC 그룹은 근심면과 원심면을 제거했다. Trueness는 각 그룹에서 20개의 3차원 데이터 중 첫 번째를 레퍼런스 데이터로 정했으며, 2번째부터 20번째의 스캔(Scan) 데이터와 레퍼런스(Reference) 데이터를 각각 배치해 중첩과정(Superimposition processing)을 거쳤다(n=19). Precision을 위해서 세 개의 각각 그룹마다 7개의 시편을 짝을 지어 중첩과정을 거쳤다(n=21)(Figure 4).
 
 
통계 분석
통계 프로그램(IBM SPSS 2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해서 3차원 데이터의 정규성 검정을 실시했다. 그러나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해 비모수 검정을 실시했다.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H 검정을 실시했다(α=0.05). 사후검정은 Mann-Whitney U와 Bonferroni 보정을 했다 (P < 0.05/3 = 0.017).
 
결과
세 그룹의 Trueness에서 가장 정확한 수치를 나타낸 그룹은 MODC 그룹으로 14.2±2.5㎛였으며, 가장 부정확한 수치를 나타낸 MOC 그룹은 16.1±2.6㎛로 보였다. 세 그룹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recision에서 가장 정확한 수치를 나타낸 MODC 그룹의 결과는 14.3±2.3㎛였으며, 가장 부정확한 수치를 나타낸 OC 그룹은 15.4±2.7 ㎛를 보였다. 그러나 세 그룹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교합면 변연 적합도를 측정한 결과, MOC 그룹이 교합면의 적합도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세 그룹의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모두 임상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수치를 보였다.
복합레진 인레이의 Trueness를 측정한 결과,  MODC 그룹이 교합면의 정확도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세 그룹의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복합레진 인레이의 Precision을 측정한 결과, MODC 그룹이 교합면의 정확도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세 그룹의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실험의 정확성 평가의 연구 결론은 아래와 같다.
3차원 내면 정확성 평가에서 모두 임상적 허용 수치에 있었으며, 그 중 MODC 그룹이 가장 좋은 정확성을 보였다.
 
Acknowledgments
본 치의기공임상학술논문은 ‘복합레진으로 제작한 인레이 보철물 구조에 따른 교합면 부위의 2차원 변연 적합도 및 내면 부위의 3차원 정확성 분석’에 게재된 일부 내용이며, 예비 실험(pilot experiment) 과정 중에 연구된 내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